최근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해 홍보되는 **‘희망뱅크 카드 현금 서비스’**가 사실상 사기 수법으로 밝혀지면서 피해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이 서비스는 급전이 필요한 서민이나 청년층을 노려 ‘신용카드 한도를 현금화할 수 있다’는 식의 광고를 내세우며 접근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고금리 수수료, 불법 대출 구조, 심지어 개인정보 유출까지 이어지는 경우가 많아 사회적 경각심이 요구된다.

1. 달콤한 현금화 제안, 불법의 덫

 

 

Credit Card, Payment Method, Bank Services, Cash Back, Financial Solution,  Deposit and Withdraw Stock Vector - Illustration of debit, payment:  141736450

 

 

 



사기 조직은 “신용카드만 있으면 누구나 즉시 현금을 받을 수 있다”, “복잡한 절차 없이 빠른 입금 가능” 등의 문구로 소비자를 유혹한다. 하지만 이는 카드사의 규정을 위반한 불법 행위이며, 피해자는 원금과 수수료 부담을 떠안는 동시에 법적 책임까지 지게 될 수 있다.

2. 피해자의 증가와 실제 사례

피해자들 중 상당수는 갑작스러운 생활비나 의료비 등으로 인해 급하게 현금이 필요해 이 서비스에 손을 댄 경우가 많다. 한 피해자는 “50만 원이 필요했는데, 실제로는 30만 원밖에 받지 못했고, 이후 카드 결제금액은 50만 원 전액이 청구됐다”며  카드깡 피해를 호소했다. 이처럼 고율의 수수료가 떼이고, 남은 부담은 고스란히 이용자에게 돌아간다.

3. 개인정보 유출의 위험

사기 조직은 카드 현금화 과정에서 신분증 사본, 카드 정보, 연락처 등 민감한 개인정보를 요구한다. 이렇게 수집된 정보는 2차 범죄에 활용될 가능성이 높아 피해자들은 장기적으로 금융사기, 대포통장 개설, 보이스피싱 등에 노출될 수 있다.

4. 금융당국의 경고

금융위원회와 카드사들은 이미 “카드 현금화 광고는 불법이며, 소비자는 이를 이용하지 말아야 한다”고 경고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사기성 광고를 발견하면 즉시 신고할 것을 당부하고 있다. 불법 현금 서비스 이용 시 피해자는 금전적 손실뿐 아니라 본인 신용등급 하락, 법적 처벌까지 감수해야 한다.

5. 안전한 대안 필요

급전이 필요한 상황에서 불법적인 카드 현금화 서비스 대신, 합법적인 소액대출, 금융지원 제도, 지자체 긴급 생활자금 지원 등의 대안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엇보다도 서민들의 절박한 상황을 노린 금융 사기를 예방하기 위해, 정부와 금융기관의 제도적 지원이 강화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